팔꿈치 인공관절 치환술, 재수술 해도 괜찮을까?

전인호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교수가 팔꿈치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팔꿈치 가동 범위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서울아산병원]

팔꿈치 인공관절 치환술(Total Elbow Arthroplasty, TEA)은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외상 등으로 팔꿈치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된 환자에게 시행하는 치료법이다. 이 수술은 팔꿈치를 대신할 인공관절을 정확하게 삽입해야하기 때문에 뼈와 인대, 조직 상태까지 모두 정밀하게 고려해야하는 고난도 수술이다.

하지만 1차 수술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 감염이 발생하거나 인공관절이 느슨해지는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생긴다. 재수술은 첫 수술보다 난이도가 높고, 팔꿈치 기능 회복 면에서도 불리하다는 인식 때문에 재수술을 앞둔 환자들의 불안과 걱정은 클 수밖에 없다. 하지만 최근 재수술이 첫 수술보다 어렵기는 해도 환자들이 직접 평가한 만족도와 통증 점수에서는 첫수술과 재수술 그룹 간 차이가 없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전인호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교수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21년까지 해당 병원에서 팔꿈치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 51명(첫 수술 32명, 재수술 19명)을 대상으로 치료 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객관적 지표인 팔꿈치 가동 범위와 기능 점수에서는 첫 수술군이 각각 107.6도와 79.5점을 기록하며 재수술군(85.8도, 65점)보다 우위를 보였다.

그러나 환자들이 직접 평가한 만족도와 통증 점수에서는 두 그룹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첫 수술군의 만족도는 4점, 재수술군은 4.1점으로 오히려 소폭 앞섰으며, 통증 점수는 두 그룹 모두 1.6점으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재수술 후 통증이 크게 줄어들면서 삶의 질이 개선된 점과 ‘더 이상 수술을 받지 않아도 된다’는 심리적 안정감이 높은 만족도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전인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재수술 후 환자들의 통증 완화와 삶의 질 개선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면서 “치료 결과를 평가할 때 의료진이 측정하는 수치뿐만 아니라 환자의 감정과 일상 회복을 반영한 자가평가 지표(PROMs)가 함께 고려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어깨·팔꿈치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미국견주관절학회지(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피인용지수 2.9)》에 최근 게재됐다.

The post 팔꿈치 인공관절 치환술, 재수술 해도 괜찮을까? appeared first on 코메디닷컴.


– 출처 : https://kormedi.com/2725109/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댓글 남기기

    아실리온의 핫이슈 리포트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