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러시아산 헬기 가동률 50% 미만’…우크라 전쟁에 부품공급 차질

[서울=뉴시스] 홍찬선 기자 = 올해 해양경찰청 소속 러시아 산 헬기 가동률이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으로 인해 부품공급 차질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9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청별·헬기별 가동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러시아산 카모프(KA-32) 헬기의 가동률이 49.8%로 평균 가동률에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모프 헬기는 우리 정부가 구소련에 제공했던 14억7000만 달러 규모의 경협차관을 현물로 받은 불곰사업을 통해 도입한 헬기로 해양경찰청이 보유한 19대 헬기 중 7대가 카모프 헬기이다.

이 헬기는 일반적인 헬기와 달리 둥축반전식 로터를 사용해 악천후 해양 구조 작전과 대형 산불 진화 작전에 주로 쓰인다.

그러나 올 들어 해양경찰청 카모프 헬기의 가동률 저하는 심각한 수준이다.

이는 지난해부터 계속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으로 장기간 동안 부품공급에 차질이 생긴 것이 주요 원인이다.

청별 헬기 가동률 자료를 보면 보유 헬기의 절반이 카모프 헬기인 서해청의 경우 가동률이 55.8%로 나타나 더욱 심각한 문제로 꼽히고 있다.

한 방산업계 관계자는 카모프 헬기에 대해 “보통 2000시간 이상 사용하고 부품을 교체하는 최신 헬기와 달리 30여 년 전에 들어온 KA-32(카모프)는 수백 시간 단위로 부품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위성곤 의원은 “예상치 못한 국제정세 변화라 하더라도 우리 국민의 해양안전에 공백이 생기는 것은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라며 “노후헬기와 향후 부품공급에 지속적인 차질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헬기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대체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ania@newsis.com


– 출처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31009_0002475881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아실리온의 핫이슈 리포트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