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우리가 늘 멍청한 결정을 하는 이유 [서평]

똑똑한 우리가 늘 멍청한 결정을 하는 이유 [서평]
똑똑한 우리가 늘 멍청한 결정을 하는 이유 [서평]

2003년 미국의 사진작가 케네스 아델만은 캘리포니아 해안 기록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주정부의 지원을 받아 헬리콥터를 타고 바닷가 사진을 찍었다. 해안선의 침식을 기록으로 남기는 대수롭지 않은 일이었지만 미국의 가수 바브라 스트라이샌드는 다르게 생각했다. 해변에 있는 자신의 저택이 온 세상에 공개됐다고 생각해 사진작가를 상대로 5000만 달러 손해배상 소송을 냈다. 결국, 법원에서 소송은 기각됐고, 소송비용 17만 달러를 모두 부담해야 했다.

하지만 스트라이샌드가 입은 피해는 따로 있었다. 그녀가 소송을 건 목적은 사생활 보호 때문이었으나 자신의 적극적 행동으로 일을 거꾸로 만들었다. 소송전까지 사진 조회 수는 6회에 불과했으나 온갖 매체가 떠들썩하게 다룬 이후 42만회로 폭증했다. 이후 무언가를 하지 말라고 하면 사람들이 더 열광적으로 해보려는 현상을 스트라이샌드 효과라고 부르게 됐다.

인간은 현명하게 사고하는 능력을 타고났고, 이 때문에 다른 생물과 인간을 끝내 구별할 수 있게 됐다. 이런 지적 능력으로 과거보다 더 많은 혜택을 누리고 기대 수명과 각종 경제 제표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나아졌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넘치는 정보 속에서 어리석은 판단을 하는 사람은 여전히 많고, 잘못된 생각을 하며 감정적으로 행동한다. 스트라이샌드처럼 가만히 있으면 아무 일도 없었을 상황을 오히려 원하지 않던 방향으로 망친다.

독일 출신의 신경과학자인 헤닝 벡은 <생각 끊기의 기술>을 통해 두뇌의 합리적 판단을 방해하는 12가지 사고의 오류에 대해 소개한다. ‘세상을 이해한다는 착각’, ‘현재 기준으로 미래 판단하기’, ‘시시하고 편협한 항의’ 등 우리가 쉽게 범하는 잘못된 사고의 사례를 통해 올바르게 의사결정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인간이 세상을 이해한다는 착각은 대부분 사람들이 자전거나 변기의 작동 원리가 어떻게 되는지 정확히 모른다는 사실만으로 간단히 증명된다. 우리가 매일 손에 들고 다니는 스마트폰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냉장고가 어떻게 차가움을 유지하는지도 잘 모른다. 그럼에도 우리는 코로나 바이러스, 온실효과 등 과학적 현상에 대해 제대로 설명하지도 못하면서 이에 대해 확고한 의식을 가지고 있다. 심지어 이런 과학적 현상에 대해 투표로 의사결정을 하기도 한다.

우리는 문제 해결을 할 때 더하고 또 더해야 만 직성이 풀리는 사고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모든 것은 점점 단순해지기보단 더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유럽연합(EU) 식품 규정은 전통 나폴리 피자에 대해 2만4000개의 단어로 규정한다. 사과 마케팅에 필요한 빨간 사과에 대한 규정은 3만자에 이르고, 인터넷 사이트의 쿠키에 대한 규정은 40만자에 달한다. 우리는 새로운 해결책을 위해 무언가 더하거나 유달리 복잡하게 만들어 우리의 정신적 능력을 증명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위험에 대해 지나치게 과대평가하는 것도 우리를 잘못된 판단에 이르게 한다. 우리는 마지막 남아있는 일말의 위험에 대해 지나치게 많은 돈을 투자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 과학에서 ‘최악 우선 휴리스틱’이라 부르는 것으로, 최악의 문제에 너무 집중하는 바람에 다른 문제들을 시야에서 놓치는 상황을 말한다.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하면 일상이 완전히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원전을 중단시켜 전력난을 만들기도 한다. 인류 식량문제 해결에 큰 역할을 한 유전자 변형식품의 위험성이 아직 증명된 바 없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부정적으로 바라본다.

이 책은 우리의 지식을 바탕으로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 우리의 정신적 가치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안내한다.

최종석 기자


– 출처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7013547i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댓글 남기기

    아실리온의 핫이슈 리포트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